경기 안산시에 있는 경매 법원입니다. <br /> <br />입찰 봉투를 든 응찰자들이 줄을 서서 기다립니다. <br /> <br />부동산 경매는 한 번 유찰될 때마다 최초 감정가에서 20%씩 낮아져 시세보다 저렴하게 집을 매입할 수 있다는 게 장점입니다. <br /> <br />[익명 / 아파트 경매 응찰자 : 시세가 7∼8억 원 정도 알고 있어요. 한 번 유찰이 되고 두 번째이기 때문에 5억 원 중·후반대로 알고 있어요.] <br /> <br />[익명 / 아파트 경매 응찰자 : 실거주 목적으로 지금 제가 사는 아파트가 경매에 나와서 참여하게 된 거예요. 예전보다는 사람들이 많이 없는 거 같아서, 지금 이 기회에 낙찰을 받아 보려고요.] <br /> <br />최근 대출 이자를 버티지 못한 집주인들이 경매로 물건을 내놓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, 정작 낙찰률은 저조합니다. <br /> <br />이곳 경매 법원에 올라온 부동산 매각 물건은 모두 22건입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유찰이 최소 한 번 이상 된 물건은 16건으로, 전체 70%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지난 2월 1억 4,400만 원이었던 이 다세대 주택은 일곱 번의 유찰 끝에 최저가가 1,100만 원까지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최초 감정가의 10분의 1수준이지만, 여전히 주인을 찾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부동산 경매 시장은 고금리 여파로 찬바람이 불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국 아파트 경매 낙찰률은 40%로 10채 가운데 4채에 불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매물이 늘면서 서울 아파트 경매 진행 건수는 230건을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7년 5개월 만에 가장 많은 수치지만, 낙찰률은 20%대로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[이주현 / 지지옥션 선임연구원 : 현재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고 있고,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로 이용할 수 있었던 특례보금자리론 우대형 상품이 지난 9월에 종료되면서 매수세가 위축된 것으로 보입니다.] <br /> <br />가격이 지금보다 더 떨어질 거란 기대감에 매수자들이 쉽게 나서지 않는 것도 낙찰률이 저조한 요인입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고금리가 계속되는 상황에선 경매 시장에서 한동안 약세가 이어질 거로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윤해리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ㅣ윤성수 <br />그래픽ㅣ홍명화 <br />자막뉴스ㅣ이 선 <br /> <br />#YTN자막뉴스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112011271246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